이더리움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가운데 형제 격인 이더리움 클래식은 올해 들어 2배가량 더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.
4일 가상화폐 거래소 업계에 따르면 3일 오후 6시 현재 업비트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은 개당 6만1천370원에 거래됐다.
작년 말 종가(6천285원)와 비교하면 876.5% 급등한 가격이다.
업비트에서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8년 1월 14일 역대 최고가(7만1천원)를 기록한 뒤 그해 11월 중순부터 작년 1월을 제외하고는 줄곧 1만원을 밑돌았다.
올해 2월부터는 1만원대를 회복한 뒤 본격적으로 상승해 4월 17일 한때 6만원을 넘어섰다.
최근 한 달로 범위를 좁혀 보면 이더리움 클래식은 3일 오후 6시 현재 252.5% 올라 도지코인(+ 562.9%)에 이어 이 기간 업비트 원화 시장 내 상승률 2위에 자리 잡았다.
이더리움은 최고가를 새로 쓰고 있지만, 이더리움 클래식에 견주면 상승세가 완만하다.
업비트에서 이더리움은 작년 말 81만5천100원(종가) 대비 3일 오후 6시 현재 370.6% 상승해 처음으로 380만원대를 넘어섰다.
이더리움은 유럽투자은행(EIU)이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1억유로(약 1천343억원) 상당의 디지털 채권을 발행한다는 소식이 나온 뒤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.
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해 NFT(Non-Fungible Token·대체불가토큰) 시장을 운영하기로 했다.
빗썸에서도 올해 들어 이더리움 클래식은 860.3%(작년 말 종가 6천300원 → 3일 오후 6시 6만500원) 폭등해 이더리움(370.3%) 상승률을 한참 앞질렀다.
둘 간의 상승률 차이는 특히 지난달 중순부터 크게 벌어졌다.
업비트에서 작년 말 대비 4월 14일의 이더리움 상승률은 281.8%로, 같은 기간 이더리움 클래식(346.1%)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.
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초기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.
2016년 7월 20일에 진행된 이더리움의 하드 포크(Hard Fork)로 새로운 블록체인이 생기면서 탄생했다.
하드 포크란 기존의 블록체인과 완전히 갈려서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이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.
하드 포크가 일어나면 새 블록체인으로 업그레이드하길 거부하고 기존 블록체인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나타나기도 한다.
이렇게 되면 블록체인이 2개 이상으로 나뉘어 각각 존재하게 된다.
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,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가 그 예다.
두 가상자산 간에 이렇게 크게 상승률이 벌어지는 이유나 배경은 뚜렷하지 않다.
이 때문에 투자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.
이더리움 클래식 특징은 아래와 같음을 참고하기 바란다.
1. "코드는 법이다(Code is law)"라는 신념 하에 블록체인의 중심가치인 "불변성"을 최우선으로 중시한다.
불변성이란 유효한 거래라면 지워지거나 잊히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, 이들이 이더리움 DAO 사태 이후 하드포크 하지 않고 기존 체인에 잔류한 이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.
2.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기존 인플레이션 정책(무제한 발행)에서 비트코인과 같은 고정 공급방식으로 통화발행정책을 변경했다.
그래서 최대 발행량이 2.3억 개로 제한되어있고, 총 공급은 약 2.1억 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.
채굴 보상은 500만 블록마다 20%씩 감소한다고 한다.
댓글 영역